오브이메디의 MEST®(Muscle Enhancement Support Therapy)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는 단순한 진통제가 아닙니다. 손상된 근육세포 재생과 근력 향상을 촉진하여, 환자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힘과 자유를 되찾게 합니다.
기존 치료제는 단순히 통증 억제에만 머물러 환자의 근본적인 기능 회복이 어려웠습니다. MEST®는 근육세포 재생 기반 치료와 신경계 통증조절을 통해 환자의 실질적인 운동 능력 향상을 가능하게 합니다.
전 세계 퇴행성 관절염 환자 : 5억 명 이상
국내 환자 : 약 400만 명 (연간 진료비 1조 원 이상/건강보험)
글로벌 OA 치료제 시장 : 2030년까지 20조 원 규모 성장 예상
근육 재생/근력 강화 + 신경계 통증 조절이라는 차별성은 고령화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 치료 옵션입니다.
관절 주변 근육 회복으로 안정성 강화
운동 능력 회복 및 생활 기능 개선
말초·중추 신경계의 통증 과민 반응 완화로 지속적 통증 경감
스테로이드·진통제 대비 안전성 확보
퇴행성 관절염 외 근감소증·노인성 근력 저하 등으로 적용 가능
통증 완화 + 근육 회복 → 자유롭고 활기찬 일상 복귀
→ 기존 치료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옵션 제공
고령화 핵심 질환(관절염·근감소증) 동시 공략 → 폭발적 성장 잠재력
1. 연골(CARTILAGE) 퇴화: Chondrocyte dysfunction (ECM, MMP)
2. 뼈 변화(Subchondral):Sclerosis, Microfractures, Osteophytes
3. 활막염(Synovitis) 및 대식세포(Macrophage) 활성화
4. 염증성 매개체: Inflammatory Cytokines-IL-1, IL-6, TNF- α
관절 불안정성(Instability), 근 위축(Atrophy), 하중 불균형적 분포(Load Maldistribution)
- PS(말초 신경): 관절의 지속된 자극 및 스트레스, 염증 반복 → 염증 매개체 증가 → 통각 수용체 민감도 증가 → 말초 신경 통증 민감화
- CS(중추 신경): 만성 관절 통증 → 중추 통각 신경의 통증 Signal 확대 → 중추 신경 통증 민감화 * 만성 무릎 통증은 관절이 손상되지 않더라도 통증을 증폭시키고 지속시킴
통증 약물 : 진통제
- NSAIDS/COX2 INHIBITORS, NARCOTICS
주사제 : 관절주사
- 스테로이드 (STEROIDS)
- 히알루론산 (HA)
- 줄기 세포 치료제 (Bone-Marrow 등)
수술(SURGERY)
- 근섬유의 일축 정렬을 통한 효율적인 힘의 전달 및 인장력의 증가
- 염증 마커인 IL6 , TNF-α 증가
- 근육 재생 마커인 IGF-1, TGF-β1 증가
- Hypertrophy 증가: 근육 무게 / 부피 및 근섬유 굵기 증가
- Myogenesis: 새로운 세포의 재생
- 근육 수축력 / 근력 개선
- 근력과 통증 개선의 상관성: Stronger muscle, Less pain
- 말초 통각 신경 민감화 완화: 근육 회복 (충격 흡수) → 관절 부하 및 반복적인 염증 감
- 중추 통각 신경 민감화 완화: 만성관절 통증 감
· 골격근 조직 : 높은 방향성을 가지며 근섬유의 정렬이 중요
· 근섬유 정렬 → 힘 전달 최적화 → 수축 효율 증가 → 근육의 기능적 안정성 향상
· 근육의 장축을 따라 삽입된 MEST → 효율적인 힘의 전달 보조
· MEST 필라멘트 : 고유의 인장강도가 있어 기계적 지지 역할
· 필라멘트 돌기(cog): 근육 조직을 물리적으로 고정(anchoring)
· 물리적 고정과 기계적 지지로 생체역학적 역할 수행
(단일기관, 모의 대조군, 무작위배정, 피험자/평가자 눈가림)

-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번호 제1061호 (2020년05월14일)
- 2020년10월 ~ 2021년07월
- 총 40명 (시험군 30명, 대조군 10명)
- 유효성 평가 : 1회 시술 후 4주, 8주, 20주, 30주 평가
- 안전성 평가 : 1회 시술 후 30주까지 평가
- VAS 통증 지표 변화 (체중 부하)
- 넙다리 네갈래근 등척성 최대 수축 근력
(다기관, 모의 대조군, 무작위배정, 피험자/평가자 눈가림)

-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번호 제1354호 (2022년05월13일)
- 2022년12월 ~ 2024년01월
- 총 132명 (시험군 88명, 대조군 43명, 중도탈락 1명)
- 유효성 평가 : 1회 시술 후 4주, 8주 평가
- 안전성 평가 : 1회 시술 후 24주까지 평가
- VAS 통증 지표 변화 (체중 부하, 걸을 때 통증)
- 넙다리 네갈래근 등척성 최대 수축 근력
- vs 대조군: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
- 모두 경증 (회복되었거나 회복 중)
- Procedural pain , contusion , Numbness , Dimpling , Nasopharyngitis
-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분석
- 10개의 RCT(Randomized Controlled Trial) 연구 및 1,933명 대상자 분석
- 주요 평가 시점에서 MEST는 우수한 통증 완화 효과 확인
- MEST는 최대 30주 동안 일관성 있는 효과가 지속
- 히알루론산 주사제는 효과가 일관적이지 않음
- 서울대 보라매 병원, 고려대 안산 병원
- MEST vs HA (히알루론산) 비교 임상시험 개시
- 임상 시험 종료 후 SCI급 논문 개재 예정
- MEST 실제 사용 Case Study 연구 진행 중
- Case Study 이후 논문 개재 예정
- 순천향대 천안병원
- MEST 치료 후 2년 추적 관찰 예정
- 임상 시험 종료 후 논문 개재 예정
- MEST vs 기존 치료제 메타 분석 연구 추진 중
- 논문 추진 예정
- MEST와 인공관절 수술 Combination 연구
- 논문 추진 예정
- 서울대 문지연 교수 : WIP 대만 (2025.01)
- WIP(세계 통증 학회, World Institute of Pain) 7차 워크샵
- Specific indications and ongoing Research in Interventional Pain Jee Y. Moon (South Korea)
- 서울대 문지연 교수
- 유럽 Regenerative medicine 발표 (2025.06)
- 대한 정형외과 추계 학회
- 2024. 10
- 천안 순천향병원 권세원 교수진
- 대한 슬관절 춘계 학회
- 2024. 05
- 천안 순천향병원 권세원 교수진
- 제 12회 분당 여름통증학교
- 2025.07
- 서울대 김정수 교수
- 순천향대 차명훈 교수